1.1. 다음 파이썬 코드의 출력결과는 무엇인가? 우선 결과를 생각해 보고 직접 코드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제출하시오. 예상결과와 실제결과가 같은지 살펴보시오.
1) print(100)
2) print(100 + 200)
3) print('100 + 200')
4) print(100, 200)
5) print('100', '200')
6) print('100''200')
7) print('Hello Python!')
8) print('Hello', 'Python', '!')
9) print('Hello' + 'Python' + '!')
10) print('Hello''Python''!')
11) print('********************')
12) print('*' * 20)
# your code here
print(100)
print(100 + 200)
print('100 + 200')
print(100, 200)
print('100', '200')
print('100''200')
print('Hello Python!')
print('Hello', 'Python', '!')
print('Hello' + 'Python' + '!')
print('Hello''Python''!')
print('********************')
print('*' * 20)
100 300 100 + 200 100 200 100 200 100200 Hello Python! Hello Python ! HelloPython! HelloPython! ******************** ********************
1.2. 다음 코드들은 어떤 오류를 출력하는가? 실행 시 나타나는 오류를 적고 이 오류를 수정한 후 수행해 보시오.
1) print('Hello Python!")
2) print('*' 20)
3) print(Life is short learn Python!)
4) print(100 + '200') # 숫자 100과 200의 합 300을 출력하라
# your code here
print('Hello Python!')
print('*'*20)
print('Life is short learn Python!')
print(100 + 200) # 숫자 100과 200의 합 300을 출력하라
Hello Python! ******************** Life is short learn Python! 300
1.3. 'I love Python!'을 5줄에 걸쳐 모두 5번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시오.
# your code here
print('I love Python!')
print('I love Python!')
print('I love Python!')
print('I love Python!')
print('I love Python!')
I love Python! I love Python! I love Python! I love Python! I love Python!
1.4. 다음과 같은 출력물을 만드는 코드를 작성해보시오.
*
**
***
****
*****
# your code here
print('*')
print('**')
print('***')
print('****')
print('*****')
* ** *** **** *****
1.5. 다음과 같은 수식 계산을 해 보도록 하자. 이 계산의 결과 값은 무엇인가?
1) 400 - 200 + 100
2) 400 * 200 - 100
3) 6 * 3 / 9
4) 9 ** 3
5) 9 / 3
6) 9 // 3
# your code here
print(400 - 200 + 100)
print(400 * 200 - 100)
print(6 * 3 / 9)
print(9 ** 3)
print(9 / 3)
print(9 // 3)
300 79900 2.0 729 3.0 3
1.6. 다음과 같은 수식 계산을 해 보자. 원주율 $\pi$는 3.14로 가정한다.
1) 1에서 10까지 정수의 합
2) 반지름의 길이가 5인 원의 둘레
3) 한 변의 길이가 20인 정사각형의 둘레
4) 한 변의 길이가 20인 정사각형의 면적
5) 높이가 10이고 밑변이 30인 직사각형의 둘레
6) 높이가 10이고 밑변이 30인 직사각형의 면적
# your code here
print(1+2+3+4+5+6+7+8+9+10)
print(5*2*3.14)
print(20*4)
print(20*20)
print(2*(10+30))
print(10*30)
55 31.400000000000002 80 400 80 300
1.7. 정수 30의 팩토리얼(=$30!$)을 구하여 출력해 보시오.
# your code here
print( \
30*29*28*27*26*25*24*23*22*21* \
20*19*18*17*16*15*14*13*12*11* \
10* 9* 8* 7* 6* 5* 4* 3* 2)
265252859812191058636308480000000
1.8. 다음의 대기 모델을 사용하여, 해발고도와 고도 1km, 2km, 3km에서의 공기밀도를 계산하시오.
$${\displaystyle \rho ={\frac {pM}{RT}}={\frac {pM}{RT_{0}\left(1-{\frac {Lh}{T_{0}}}\right)}}={\frac {p_{0}M}{RT_{0}}}\left(1-{\frac {Lh}{T_{0}}}\right)^{{\frac {gM}{RL}}-1}} $$위의 관계식에서 고도 $h$의 단위는 $m$이며, 그외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다. 참고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Density_of_air
# your code here
# h = 1000m
print('rho at 1km : ', 101325*0.0289652/8.31446/288.15 \
* (1-0.0065*1000/288.15)**(9.80665*0.0289652/8.31446/0.0065-1) )
# h = 2000m
print('rho at 2km : ', 101325*0.0289652/8.31446/288.15 \
* (1-0.0065*2000/288.15)**(9.80665*0.0289652/8.31446/0.0065-1) )
# h = 3000m
print('rho at 3km : ', 101325*0.0289652/8.31446/288.15 \
* (1-0.0065*3000/288.15)**(9.80665*0.0289652/8.31446/0.0065-1) )
rho at 1km : 1.111652359613188 rho at 2km : 1.0064977794117342 rho at 3km : 0.9091276488017072